티스토리 뷰
목차
헌옷수거함이 어디 있는지 몰라서 헌 옷을 계속 집에 쌓아두고 계신가요? 전국 2만 개 이상의 헌옷수거함 위치를 쉽게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5분만 투자하면 집 근처 수거함을 바로 찾아서 환경보호와 기부를 동시에 실천할 수 있어요.

헌옷수거함 위치 찾는 방법
전국 헌옷수거함 위치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나 환경부 통합검색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나 카카오맵에서 '헌옷수거함'을 검색하면 주변 1km 이내 수거함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됩니다. 아파트 단지나 대형마트 앞, 주민센터 주변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어요.
3분 완성 이용가이드
수거함 이용 전 준비사항
헌 옷은 깨끗하게 세탁한 후 완전히 건조시켜 준비하세요. 지퍼나 단추가 고장난 옷도 수거 가능하지만, 심하게 찢어지거나 오염된 의류는 제외해야 합니다.
올바른 투입 방법
옷을 투명 비닐봉지나 종이봉지에 담아서 넣으면 됩니다. 수거함 입구가 작은 경우 옷을 접어서 차례대로 넣고, 억지로 밀어 넣지 마세요. 신발은 별도 수거함이 있는 곳에만 넣을 수 있어요.
이용 가능 시간
대부분의 헌옷수거함은 24시간 이용 가능하지만, 아파트 단지 내 수거함은 밤 10시부터 아침 7시까지 소음 때문에 이용을 자제해 주세요. 주말에는 수거 빈도가 낮아 가득 찰 수 있으니 평일 이용을 권장합니다.
숨은 혜택 총정리
헌옷수거함 이용시 연간 500kg 이상 기부하면 일부 지역에서 지방세 감면이나 자원봉사 시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재활용을 통해 환경보호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수거된 의류는 저소득층 지원이나 해외 원조용으로 활용되어 사회공헌 효과도 큽니다. 일부 수거함은 기부 영수증을 발급해주는 곳도 있어서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절대 넣으면 안 되는 품목
헌옷수거함에 잘못된 물건을 넣으면 전체 수거물이 오염되어 폐기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 품목들은 절대 넣으면 안 되는 금지 품목이에요.
- 젖은 옷이나 곰팡이 핀 의류 (전체 수거물 오염 원인)
- 속옷, 양말, 수영복 등 직접 착용 의류
- 커튼, 이불, 베개 등 대형 생활용품
- 가방, 모자, 벨트 등 악세서리류 (별도 수거함 이용)
- 아기 기저귀, 걸레, 타올 등 위생용품